GGUM
_SW미래채움센터_경기(수원)


  'SW미래채움센터'는 양질의 교육기회가 부족한 도서벽지, 저소득층 · 중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SW교육제공을 위한 공간을 필요 지역마다 설립되고있다.

  또한 경력단절 여성, IT관련 퇴직자, 미취업자들을 대상으로 SW교육을 지원하며, 그들의 교육개발을 위한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함께 계획한 SW미래채움센터_경기는 세상을 유연하고 어느 곳에도 얽매이지 않도록 생각할 수 있는 '껌' 이라는 컨셉으로  공간을 풀어나갔다.

2020.09 ~ 2020.12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신제품개발센터 內

SITE   │경기도 수원시

AREA │425㎡ / B1 


SPACE CONCEPT

'다양한 맛의 아이디어가 부풀어 오르는
경기SW미래채움센터_수원'

엉뚱한 아이디어가 가득하며, 각각(角) 자신만에 세상의 중심을 구축해나가면서도
서로서로 함께(WEWE) 나누며 성장하여 세상의 중심이 되어지는 의미를 내포한다.


SPACE CONCEPT

     '다양한 맛의 아이디어가 부풀어 오르는 경기SW미래채움센터_수원'

엉뚱한 아이디어가 가득하며, 각각(角) 자신만에 세상의 중심을 구축해나가면서도
서로서로 함께(WEWE) 나누며 성장하여 세상의 중심이 되어지는 의미를 내포한다.



HALL


  지하층에 자리한 'SW미래채움_경기센터'의 장소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맨처음 들어서는 도입부를 에너지가 넘치고 경쾌한 느낌을 주도록 컬러와 그래피티를 적용하여 설계했다.  복도의 그래피티는 'GGUM ; 꿈' 을 주제로 한 각기 다른 꿈들이 모여 부풀어나가는 것을 형상화 했다. 

EXHIBITION ZONE

& MAKER SPACE


  메인 입구에서 바로 들어서는 곳에 EXHIBITION ZONE과 MAKER SPACE를 배치했다. 창조하는 행위의 공간과 창조물을 전시하는 공간을 함께 조닝함으로써 '꿈을 만드는 곳' 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

/

EXHIBITION ZONE & MAKER SPACE


  메인 입구에서 바로 들어서는 곳에 EXHIBITION ZONE과 MAKER SPACE를 배치했다. 창조하는 행위의 공간과 창조물을 전시하는 공간을 함께 조닝함으로써 '꿈을 만드는 곳' 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교육실(20인)


  MAKER SPACE와 같은 선상에 배치한 교육실은 상황에 따라 수용인원 및 교육의 방식에 맞춰 가구배치를 다양하게 이용 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특히 창이 없는 실내를 감안하여 아트월에 자연(식물)요소를 디자인하여 공간에 생동감을 주었다.


교육실(20인)


  MAKER SPACE와 같은 선상에 배치한 교육실은 상황에 따라 수용인원 및 교육의 방식에 맞춰 가구배치를 다양하게 이용 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특히 창이 없는 실내를 감안하여 아트월에 자연(식물)요소를 디자인하여 공간에 생동감을 주었다.

MEDIA ZONE


  SW미래채움_경기센터의 중심부인 MEDIA ZONE은 곡면형 미디어월을 도입하여 기술적인 공간의 특성을 나타냈다. 이곳은 코딩관련 강연, 방과후 참여활동 등 다양한 목적에 맞춰 사용할 수 있으며 휴식의 공간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특히 중앙에 넓은 단올림구조는 사용자(청소년 및 어른)에게 규격화 되지않은 자유로운 틀을 제공하며, 벤치의 역할 및 추후에 코딩되어진 로봇을 시현해볼 수 있는 '테이블'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기존에 어둡고 차가운 분위기의 폐쇠적인 공간을  사선 형태의 조명 · 조경요소 · 오브제적인 거울 & 염색아크릴 · 그래피티 · 다양한 컬러요소의 가구들을 곳곳에 기획했다. 이는 보여지는 즐거움이 공간에 생동감과 활력을 더해주면서 창의적인 활동에 시너지를 일으켜주는 환경을 만들어낸다.


CO-WORKING 1~3

 / MEETING ROOM 1,2


  CO-WORKING은 경력단절여성들이 강의준비 및 SW개발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일정한 크기로 3개의 실을 구획하였다. 최소한의 벽으로 공간을 나눴으며, 일반적으로 도어를 통해 들어오는 것이 아닌 수납이 용이한 가구를 활용하여 가벽을 만들었다. 이는 업무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개방감을 주어 보다 넓은 공간을 이용할 수있게 설계했다.


  시스템 부스로 만들어진 MEETING ROOM은 컨팩트한 크기지만 각각 회의를 할 때 모든 필요 요소들이 구비되어 있다.

MEDIA ZONE


  SW미래채움_경기센터의 중심부인 MEDIA ZONE은 곡면형 미디어월을 도입하여 기술적인 공간의 특성을 나타냈다. 이곳은 코딩관련 강연, 방과후 참여활동 등 다양한 목적에 맞춰 사용할 수 있으며 휴식의 공간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특히 중앙에 넓은 단올림구조는 사용자(청소년 및 어른)에게 규격화 되지않은 자유로운 틀을 제공하며, 벤치의 역할 및 추후에 코딩되어진 로봇을 시현해볼 수 있는 '테이블'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기존에 어둡고 차가운 분위기의 폐쇠적인 공간을  사선 형태의 조명 · 조경요소 · 오브제적인 거울 & 염색아크릴 · 그래피티 · 다양한 컬러요소의 가구들을 곳곳에 기획했다. 이는 보여지는 즐거움이 공간에 생동감과 활력을 더해주면서 창의적인 활동에 시너지를 일으켜주는 환경을 만들어낸다.


  

POP TUBE & MEETING ROOM

 / O.A & CANTEEN


  POP TUBE & MEETING ROOM은 영상촬영을 하는 실이다. 가장 안쪽에 구성되는 실이며,


단조로운 평면에 입체적인 흥미 요소들 (MEDIA ZONE에서도 보여지는 조경요소/ 아트월(패턴월))로 공간을 디자인 했다.  O.A & CANTEEN은 수업을 듣는 학생들 및 강사들의 물건을 보관 할 수있는 락커와 식음이 가능한 탕비요품을 함께 배치했다.

CO-WORKING 1~3 / MEETING ROOM 1,2


  CO-WORKING은 경력단절여성들이 강의준비 및 SW개발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일정한 크기로 3개의 실을 구획하였다. 최소한의 벽으로 공간을 나눴으며, 일반적으로 도어를 통해 들어오는 것이 아닌 수납이 용이한 가구를 활용하여 가벽을 만들었다. 이는 업무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개방감을 주어 보다 넓은 공간을 이용할 수있게 설계했다.


  시스템 부스로 만들어진 MEETING ROOM은 컨팩트한 크기지만 각각 회의를 할 때 모든 필요 요소들이 구비되어 있다.

POP TUBE & MEETING ROOM / O.A & CANTEEN


  POP TUBE & MEETING ROOM은 영상촬영을 하는 실이다. 가장 안쪽에 구성되는 실이며,

단조로운 평면에 입체적인 흥미 요소들 (MEDIA ZONE에서도 보여지는 조경요소/ 아트월(패턴월))로 공간을 디자인 했다.  O.A & CANTEEN은 수업을 듣는 학생들 및 강사들의 물건을 보관 할 수있는 락커와 식음이 가능한 탕비요품을 함께 배치했다.

Copyright ⓒ 2021 MUNHWAGONGGAN ASSOCIATE All rights reserved. 

Tel. 02-565-4230 | Fax. 02-565-4231 | mhsa0925@naver.com
서울특별시 서초구 언남17길 18 덕원빌딩 3층

사업자등록번호  220-87-03072

㈜ 문화공간어쏘시에이트 대표자 최동욱